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황청의 국제적 소외: 프란치스코 교황의 메시지와 현실의 불일치"

미켈란젤로의 돔에서 내려다본 성 베드로 광장. 이미지 출처 : 나무위키

이탈리아의 베테랑 기자 마르코 폴리티가 주목한 것에 따르면, 지난 60년 동안 교황청이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사건들에 대해 소외되고 무시당한 적이 없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폴리티는 좌파 기자로서 1971년부터 바티칸을 취재해오며, 최근 우크라이나에서의 휴전을 촉구하는 교황의 요청이 무시되는 사례를 들어 이러한 위험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황 프란치스코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심에 있음에도 소외되어 보입니다. 영국은 그를 무시하고, 미국의 대통령 바이든은 간섭을 원치 않으며, 푸틴은 바티칸을 협상의 유효한 도구로 보지 않습니다. 중국의 시진핑도 내부 정치적 이유로 교황청의 입장을 과도하게 강조하지 않으며, 우크라이나 문제에서 바티칸의 중재 가능성을 언급한 적이 있던 젤렌스키도 현재는 교황의 키이우 방문을 통해 푸틴을 더욱 궁지로 몰아넣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바티칸 외교가 경험하지 않은 전례 없는 상황으로 폴리티가 지적한 바입니다. 유럽의 여러 정부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있지만, 사실상 무시하고 있으며, 바티칸 국무장관인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과 외무장관인 폴 갤러거 대주교는 교황의 강경한 입장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반면,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에는 케네디와 흐루쇼프가 바티칸의 중재를 요청했으며, 오바마 대통령 시절에도 워싱턴은 바티칸을 통한 하바나와의 관계 조정을 편리하게 여겼습니다. 또한,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단호한 '아니오'는 세계 교회 협의회, 성공회,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러시아 정교회의 총대주교, 그리고 미국 교회 협의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끊임없는 평화 호소, 국제 이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탄소 배출량 감소 등의 메시지는 그의 도덕적 자산을 무시당할 수 있으며, 교황청이 진보적 원인의 플랫폼으로 전락함에 따라 그의 메시지가 덜 예언적으로 들리게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아마도 프란치스코가 처음부터 의도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